상명대학교
분자생명공학연구실
분자생명공학연구실
About the lab
연구실 소개
인슐린(Insulin)은 혈액 내 포도당을 세포로 유입시켜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는 호르몬이다. 당뇨병은 췌장이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신체가 생산된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4억 2,200만 명이 앓고 있으며, 매년 150만 명이 당뇨병으로 인해 사망한다(WHO, 2023). 당뇨병의 치료는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된 재조합 인간 인슐린(Recombinant human insulin)을 피부를 통해 피하층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재조합 인간 인슐린은 해당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운반체인 플라스미드(Plasmid)에 삽입하고 이를 생물 공장인 대장균(Escherichia coli)에서 발현시켜 생산한다. 분자생명공학연구실은 재조합 인슐린을 비롯하여 의약, 화학, 농업 등의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다양한 재조합 호르몬 및 효소 등을 보다 높은 효율로 생산하는 유전공학적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아울러, 이와 관련된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DNA, RNA, 및 Protein을 대상으로 하는 분자생물학 연구와 세포의 구조, 기능 및 작용을 이해하는 세포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Transgenic E. coli overexpressing Hsps and its application]